클라우드플레어 ads.txt 우회 경로 만들기
애드센스를 이용해서 블로그로 수익화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이 마주하는 문제 중 하나는 ads.txt이다. 뭐, 앞뒤 다 자르고 본론으로 들어가면, 웬만해서는 ads.txt는 간단하게 플러그인 하나로 해결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게 잘 안 되는 경우가 있으니 바로 멀티사이트로 워드프레스를 운영할 때 그렇다.
멀티사이트로 하게 되면, 문제점은 최상단에 ads.txt가 안 들어간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멀티사이트의 베이스 사이트의 정보로만 하위 사이트도 정보를 다 공유하는(?) 그런 특성 때문이다. 하나의 애드센스 계정에 다 묶인 도메인이라면 문제는 없다. 하지만, 다른 애드센스 계정에 묶였다면? 해결을 해 줘야 한다.
클라우드플레어 ads.txt 우회 경로
그런 상황에서 클라우드플레어를 이용한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면? 워커를 이용해서 ads.txt로 접근하는 경로를 우회 시켜서 클라우드플레어의 솔루션으로 보내 버리는 것이다.
즉 도메인/ads.txt로 접속을 시도한다면, 실제로 워드프레스의 최상단에 있는 해당 파일을 읽어서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클라우드플레어 자체적으로 해당 주소를 우회 시켜서 내가 보여주고자 하는 ads.txt의 내용을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애드센스에서 ads.txt 오류가 있다고 나올 수가 없다. 왜냐? 봇이든 뭐든 그 주소로 들어오면 무조건 같은 정보를 뿌려주기 때문이다.
이런 서비스는 클라우드플레어에서만 봤다. 포크번이나 고대디에서는 이런 설정을 못 찾겠더라. 클라우드플레어가 CDN서비스 등을 하는 것은 다 그만한 리소스가 있고 운영 노하우가 있어서 그렇다고 생각이 든다. 이 방식을 사용한 이후에는 멀티사이트로 워드프레스를 만드는 것이 굉장히 쉬워졌다.
뭐든 아는만큼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클라우드플레어는 도메인 가격도 저렴하고, 관리툴이 다른 도메인 사이트에 비해서 말도 안되게 편리하면서도 파워풀하다. 대체 어떤 기능들을 지원해 주는지도 다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고급스킬이 많다.
프록시는 적당히 이용
다만, 한가지 아쉬움이 있다면 클라우드플레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프록시를 이용하도록 도메인 레코드를 설정해 놓으면 일부 페이지 접속이 안 될 때가 있다는 것이다. 그럴 때는 DNS 레코드 값을 다이렉트로 설정되도록 하면 되므로, 그냥 아쉽다는 것이지, 뭔가 문제가 된다는 것은 아니다.
아무튼, 이래저래 도메인 사이트 중에는 클라우드플레어를 능가하는 곳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진즉부터 모두 여기를 이용했으면 좋았을 것을, 왜 다른 곳도 두리번 거렸는지 모르겠다.